문장으로 배우는 창업용어 50선 용어집은 교육부, 한국연구재단,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
지원으로 만들어졌습니다.
문장으로 배우는 창업용어 50선
데모데이, 린스타트업, 스케일업 등 창업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!
정확히 알고 계셨나요? 😮 😊
1. 공유경제 (Sharing Economy)
√ 물품, 생산설비나 서비스
ㄴ우버 , 쏘카 , 에어비앤비
개인이 소유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, 😋
자신이 필요 없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공유 소비의 의미 🙋
2. 구독경제 (Subscription Economy)
√ 신문이나 잡지를 구독하는 것처럼 🧐
일정 기간 구독료를 지불하고 상품,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는 경제활동을 말함 .
지정된 날짜에 주기적으로 해당 상품을 배달해 주기 때문에
필요한 제품을 매번 사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음
3. 니치 마케팅 (Niche Marketing)
시장의 빈틈을 공략하는 새로운 상품을 잇달아 시장에 내놓음으로써, 다른 특별한 제품 없이도 점유물을 유지해가는 판매전략
😋 [ 남이 모르는 좋은 낚시터 ] 😛
ㄴ나만이 알고 있는 ‘유일한’ ㅎㅎ비밀 ㅎㅎ
4. 데모데이 (Demoday)
#스타트업 #데모데이
ㄴ 전북에서 엄선한 스타트업
IR 데모데이 ——-유튜브/ 2021 소셜 임팩트 퓨처레이팅 IR 데모데이
과연 투자자들의 반응은 ?...😲ㅎㅎㅎ
5. 데이터베이스 (Database)
사용목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필요가 있음
√ 중복을 피하여 정보를 일원화하고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서로 관련성을 가지며
중복이 없는 데이터의 집합을 유지하는 것
6. 라이센싱 (Licensing)
타인에게 대가를 받고 그 재산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업적 권리를 부여하는 계약
ㄴ [ 특허 / 기업비결 / 노하우 / 등록상표 / 지식 / 기술 공정 ]
√ 라이센시는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서 특정 제품을 생산, 사용 , 양도 , 판매 , 전시 등을 할 수 있음
√ 라이센싱으로 부여받은 권리는 법적으로 독점성 , 배타성이
보장되는 법적 권리로 독점적 이익을 얻을 수 있음
7. 랜딩페이지 (Landing Page)
√ 링크를 클릭하고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마케터가 의도한 행위를 하는 페이지
8. 리드 타임 (Lead Time)
유통 용어로는 제품을 발주하고 나서 실제로 배송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
√ 리드 타임 계획 시에는 목표로 하는 조달 기간과 그에 따른 차질 기간을 고려해서
조달 시간에 어느 정도의 여유를 보고 날짜를 정해
다소의 시간 지연이 생겨도 조정할 수 있도록 조달 기간을 잡아야 함
9. 린스타트업 (Lean Startup)
애자일 방법론 (Agile Software Development)
린 스타트업
√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‘방법’ 혹은 ‘철학‘ 으로 짧은 시간 동안 제품을 만들고
성과를 측정해 제품 개선을 반복하여 시장에서의 판매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경영방식을 강조함.
애자일 방법론
√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의 하나로, 개발 대상을 다수의 작은 기능으로 분할하여
하나의 기능을 하나의 반복 주기 내에 개발하는 개발 방법
10. 마일스톤 (Milestone)
√ 제품 개발, 고객 확보, 우수한 경영진
각 마일스톤이 모여 스타트업 성장단계가 되는데,
각각의 성장단계는 회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통합적인 계획을 세움
11. 밸류체인 (Value Chain)
√ 기업에서 경쟁전략을 세우기 위해, 자신의 경쟁적 지위를 파악하
이를 향상할 수 있는 지점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모형
12. 베타 서비스 (Beta Service)
√ 베타 서비스는 알파 테스트를 거친 프로그램을 정식 프로그램이 되기 전
사용자들이 테스트하도록 한 것
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배타 테스트는 공식적인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두 번째 단계에 해당함
13. 벤처캐피탈 (VC, Venture Capital)
엔젤투자 (Angel Investment)
엑셀러레이터 (Accelerator)
벤처캐피탈
√ 창업 초기 단계에 자본 참여를 통해 위험을 기업가와 공동 부담하고 😒
자금, 경영관리 , 기술 지도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
높은 이득을 추구하는 자본 또는 금융활동 🙆🏼♂️
엔젤투자
주식으로 그 대가를 받는 투자 형태
√ 돈을 모아 투자하는 투자클럽의 형태
기업 가치를 올린 뒤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거나
대기업에 인수합병 (M&A)될 때 지분매각 등으로 투자 이익을 회수합니다.
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방식이 있습니다.
ㄴ직접투자: 개인이 기업과 직접 접촉해 투자하거나 여럿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
기업 설명회(IR) 등을 함께 듣는 엔젤클럽 활동을 통해 자기 책임하에 투자.
간접투자: 49명 이하의 개인이 모여 결성하는 개인투자조합(펀드)에 출자하는 방식,
투자 대상 선정은 펀드매니저 역할을 하는 업무집행조합원(GP)이 담당.
엑셀러레이터 (Accelerator)
√ 창업 기업에 사무실,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마케팅 , 전략 등
각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들을 멘토로 연결해 주기도 함.
인큐베이터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, 인큐베이터가 엑셀러레이터보다 앞서
창업 직후의 초창기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기업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
14. 비즈니스 모델 (BM, Business Model)
√ 제품,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고 😄 , 어떻게 마케팅하며 😶 ,
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하는 🤑 아이디어를 말함
인터넷 기업들이 인터넷상에서 독특한 사업 아이디어를 💬 내 이를 웹상에서 운영하는 것을
특허 출원하기 시작하면서 널리쓰임
ㄴ 미국 : 프라이스라인- 역경매
아마존- 원 클릭 서비스
15. B2B (Business to Business)
B2C (Business to Consumer)
B2B
√ 전자매체 🖥️이용해 이뤄지는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 주로 공사 자재 ⛏️나 부품, 입찰 같은 것들이
주로 취급되었으나,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성장
오늘날에는 제조와 유통, 서비스 등을 포함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모든 물품과 서비스까지 포괄하
는 개념으로 전자상거래만이 아닌 기업간의 거래로 의미 확대
B2C
√ 전자상거래(e-commerce) 💻 기업과 소비자 간 직접 거래로 인해 중간 단계의 거래가 제외되므로
소비자는 할인된 가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음.
인터넷상에서의 물품의 구매와 판매가 일어나는 전자상거래의 급격한 성장을 일으킴
16. 빅데이터 (Big Data)
√ 빅데이터의 사전적 의미는? 🔍
ㄴ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😑 엄청난 양의 데이터 ❗를 뜻함.
1980년대 미국에서 나온 용어 ~~!!
√ 주목받는 이유는?
ㄴ 기업이나 정부, 포털 등이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래를 예측해
최적의 대응 방안을 찾고, 😋이를 수익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임 . 🙆🏼
17. 세그먼트 STP (Segment)
타겟팅 STP (Targeting)
포지셔닝 STP (Positioning)
앞 글자를 모아 만든 합성어로 마케팅 전략과 계획 수립시 소비자 형태에 따라
시장을 세분화하고, 이에 따른 표적 시장의 선정, 그리고 표적 시장에 적절하게
제품을 포지셔닝하는 일련의 활동을 지칭함.
세그먼트(Segment)
타겟팅(Targeting)
포지셔닝(Positioning)
√ 미국의 세계 시장을 큰 폭으로 점유하고 있는 P&G는 STP기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기업 중 한 곳임. P&G는 10가지의 각기 다른 상표 세제를 생산하고 있으며 상표들은 3~4가지 종류의 크기가 다른 포장으로 판매되고 있음. 제품 종류를 복잡하고 다양하게 만들어 다양한 소비자층과 , 각각의 욕구들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STP기법의 좋은 사례 중 하나임.
18. 스케일업 (Scale-Up)
규모(Scale)를 확대(Up)하는 것을 뜻함. 🙂
기술 ,제품, 서비스, 기계의 성능, 생산능력 등의 확대를 설명할 때 주로 사용
√ 현장에서 스케일업은 성장하는 기업 또는 성장하는 스타트업을 말함.
통상 스타트업과 스케일업을 함께 사용하는 데 이를 창업과 성장으로 표현함 .
‘아이를 낳는 것과 같은 창업(스타트업)’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과정은
🥰 🙋🏼 ‘아이를 잘 키우도록 하는 성장(스케일업)’ 🥰 🙋🏼
19. 스타트업 (Startup)
사회적기업 (Social Enterprize)
벤처기업 (Venture Company)
스타트업
√ 설립된 지 오래되지 않은 잠재력 👋과 성장 가능성 🙋🏽♀️을 가진 기술 중심의 회사
사회적기업
√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
사회적 목적 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. 핀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
[ ⚖️사회적 기업 육성법 제 2조 제1호 ⚖️] 영리기업이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데 ,
사회적기업은 사회서비스의 제공 및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점.
√ 주요 특징으로는 ?
ㄴ 취약계층에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 제공 등의 사회적 목적 추구,
영업활동 수행 및 수익의 사회적 목적 재투자 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 구비
벤처기업
√ 국내에서는 스타트업과 달리 정부 인증기업을 지칭함 .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벤처기업은
[ ⚖️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⚖️]
ㄴ 기술 및 경영혁신 능력이 우수한 중소기업 중 일부 요건을 갖춘 기업을 뜻함.
20. 스토리보드(Storyboard)
√ 연속된 일련의 시각자료를 설계할 때 서로 관련된 자료나 슬라이드 , 비디오물 또는 컴퓨터 화면
등의 전체적 계열을 창의적으로 배열하고 재배열하기 위해 흐름을 시각화 하고 내용을 계열화하
는 방법
ㄴ 내 머릿속 계획을(만화와 비슷하게 ) 네모난 판위에 넣을 수 없을까? 😮
21. 스톡옵션 (Stock Option)
√ 스톡옵션은?
ㄴ초기에 자금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는 벤처기업이 우수 인력을 유치하는 수단으로 적극활용
사업이 성공했을경우 주식을 액면가 또는 시세보다 훨씬 낮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미리 줌으로써
회사의 임직원은 자사주를 현 시가나 액면가에 구매하여 향후 주가 변동에 따라 차익을 획득함.
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임직원은 주가 상승으로 인한 수입 증대 효과가 있으므로
회사에 주인의식을 가지고 경영 활동에 참여하며 회사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음.
이로 인해 기업으로서는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,
최소 비용으로 우수한 인재를 확보 할 수 있음
안정주주를 확보하게 되어 소유 분산 촉진과 기업의 인수 . 합병에 대한 대항 수단으로
작용하여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음.
22. 스핀오프 (Spinoff)
독립적인 주체로 만드는 회사분할을 뜻하는 용어
√ 기업이 스핀오프를 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❓
사업 부문을 여러 개의 자회사로 독립시켜 경영효율을 기하고 주주들의 만족을 높이려는 데
있음. 한편으로는 기업들이 스핀오프를 통해 기업 경영의 분권을 강화하려는 측면
23.시드머니 (Seed Money)
투자 시리즈 / 라운드 (Investment Series / Round)
밸류에이션 (Valuation)
시드머니
√ 가족 , 친구의 투자 , 크라우드펀딩 , 엔젤투자
스타트업 업계에서 [창업 자금은 FFF]
ㄴ가족(Family), 지인이나 친구(Friends), 바보(Fool) 의 투자로 시작한다는 우스겟소리도 있음.🤣
투자시리즈 / 라운드
√ 투자받는 기업의 성장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한국에서는 시리즈란 표현으로도 통용됨.
엔젤이나 초기 벤처에 투자하는 A 단계에서 시작하며, 상장 전 비교적 큰 규모의 D 단계까지
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이나, 기업의 성장에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😮💨가끔은 후행 투자가
더 낮은 기업 가치로 진행됨
밸류에이션
√ 밸류에이션(가치평가)은 특정 자산 혹은 기업의 현재 가치를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의미
가치를 평가하는 밸류에이션 기법은 매우 다양함 😀 💁♂️
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애널리스트들은 기업의 경영진, 자본구조의 구성 , 미래수익의 전망 및
기업이 보유한 자산들의 시장가치를 살펴보게 됨.
이때 주식이나 채권의 가치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자유의사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질 때 쌍방이
동의한 가격에 결정됨.
24. CSV (Creating Shared Value)
√ 기업의 수익 창출과 사회공헌활동이 별도의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,
기업의 영업활동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경제적 수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
기업의 사회적 책임(CSR,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) 과 비교됨
CSV는 처음부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여 기업의 이윤으로 연결하는 방법
CSR은 기업이 이미 만들어낸 이익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방식임.
CSR은 주로 영업 외 비용으로 인식되지만, CSV는 그 자체가 주요 경영활동의 예산과 비용으로 함
25. 아웃소싱 (Outsourcing)
√ 아웃소싱은 미국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하기 시작하여 이제는 경리, 인사 신제품 개발 , 영업 등
모든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. 아웃소싱은 최근 비용을 절감하면서 효율을 높이는 경영혁신의 예로
제시되고 있음.
26. ROI (Return On Investment)
√ 기업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 진행한 프로모션, 광고, 캠페인 등의 모든 투자 비용
대비 얼마나 돈을 벌었느냐 하는 ‘순이익’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지표임.
계산 식: ROI = 순수익 / 광고비 x100 (ROI가 클수록 수익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함.)
💣예시) 총 프로모션 투자비 100만원이고 투자비를 제외한 순수익이 500만원 일때 ROI 는? ❓
ROI=(순수익) 500만원 / (투자비) 100만원 x 100 =500%
27. 애프터마켓 (After Market)
√ 대표적으로 자동차 정비, 액세서리 용품, 디지털 인화 서비스
애프터마켓 -2008년 전 세계를 덮친 경제위기 이후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했는데, 이는 위기를
산업계가 신규 설비 투자보다는 기존 설비 유지보수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
증가 했기 때문임.
시황에 덜 민감한 사업 안정성 등의 장점이 있음.
28. 업사이클 (Up-cycle)
√ ’ Upgrade’ (개선하다. 높이다)와 ‘Recycle’(재활용한다)을 합쳐 ‘Up-cycle’ 이라는 신조어가
신조어가 만들어졌으며 재활용품의 가치를 높였다는 의미
ㄴ예를 들어 ?? 🥰
폐지나 의류 🎽, 카시트 🚗, 텐트 🏕️등을 재활용하여 의류제품으로 론칭한 ‘업사이클 제품’
29. 엑시트 (Exit)
M&A (Merger and Acquisitions)
IPO (Initial Public Offering)
엑시트
√ 주로 IPO(상장) 또는 M&A(인수 및 합병), 상환의 방법이 통용됨, 그렇기에 투자자자는 수익의
극대화와 회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자 단계에서부터 IPO 또는 M&A를 염두에 두고
투자 진행 , 창업자는 어려운 환경애서 키워온 기업이 마지막에 좋은 가격으로 시장에서
회수하는 방법이 어떤 것인지를 초기 창업부터 고려해야 함.
M&A
√ 기업의 ‘인수’ 란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자산을 취득하면서 경영권을 획득하는 것,
‘합병’이란 두 개 이상의 기업들이 법률적으로나 사실적으로 하나의 기업으로 합쳐지는 것.
최근 M&A가 보다 넓은 의미로 쓰이고 있는데 기업의 인수와 합병 그리고 금융적 관련을 맺는
합작관계 또는 전략적 제휴 등까지 포함.
IPO
나스닥 등 주식시장에 처음 상장하는 것을 의미
√ 성공적인 IPO ?? 🧐
적당한 수준에서 기업을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 필요함.
시장 상황에 따른 IPO 시기, 파트너의 선택에 신중해야 함.
30. MCN (Multi Channel Network)
√ 현재 MCN(다중 채널 네트워크)은 영상물을 기획하거나 세계 각국의 동영상 서비스 업체들과
제휴를 맺어 동영상을 제공하는 🎥 등 여러 방면으로 사업을 넓혀가고 있음. ✌️ 🙋🏻♀️
1인 방송만으로도 질 높은 내용을 담은 영상들을 제공하고 방송 시장의 범위도 넓힐 수 있음.🧚♂️ 📹
31. O2O (Online to Offline)
오프라인으로 제공하는 서비스
√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이용하던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주문, 조작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
ㄴ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?? 배달의 민족 , 카카오 택시
ㄴ 최근에는 이사 , 세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가 운영
32. 워크플로 (Workflow)
√ 작업 절차의 운영 측면으로 업무들이 어떻게 구성되고 , 누가 수행하며 , 순서가 어떻게 되며 ,
어떻게 동기화를 시킬지 ,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어떻게 흐르는지 그리고
업무가 어떻게 추적되는지 ..?? 를 말함. 😊 👩🏻🦰
ㄴ 창업 업계에서는 일이 돌아가는 흐름을 뜻함. ㅎㅎ 😋
33. 유니콘 기업 (Unicorn)
√ 상상도 하지 않은 스타트업 기업의 가치가 1억 달러를 넘는 일은 유니콘처럼 상상 속에나 가능
한 일이라는 의미에서 여성 벤처 투자자인 에일린 리 (Aileen Lee)가 2013년에 처음 사용함
예전에는 우버가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이지만, 최근 기업을 상장하여 이제 유니콘 기업 명단에
들어가지 않음, 현재 대표적인 세계적 유니콘 기업에는 미국의 에어비앤비 , 스냅챗과
중국의 샤오미, 디디 콰이디 등이 있으며 , 한국의 유니콘 기업으로는 쿠팡 , 크래프톤 ,
옐로 모바일 , 토스
데카콘(Decacorn)기업: 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
헥토콘(Hectorcorn)기업: 기업가치 1천억 달러 이상으로 유니콘의 100배인 기업
34. 인큐베이팅 (Incubating)
√ 아이디어만 있을 뿐 돈도, 기획력도 , 마케팅 능력도 부족한 회사를 어엿한 회사로 키워주는 일
이를 위해 사업성 평가는 물론 창업에 필요한 인력, 자금 등에 관해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함.
국내 대표적인 인큐베이팅 기관으로는??
창업보육센터 - 전국 258개
이런 일을 하는 인큐베이팅 기관, 기업은 창업 열풍 속에서 가능성 있는 신생기업의 싹을 🍀
틔워주는 일종의 영양공급원이라 할 수 있음. 🌸 🌳
35. 임팩트 투자자 (Impact Investment)
사업이나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방식
√ 기존에 사회를 위한 투자가 사회나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
것이었다면, 임팩트 투자는 그러한 소극적인 방식을 넘어 사회나 환경문제에 긍정적인 영향력을
발휘할 수 있는 사업이나 소셜벤처 사회적기업을 적극적으로 찾아 이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
방식을 의미함.
ㄴ현재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와 더불어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성장사다리펀드 등
다양한 금융사, 투자사들이 펀드 및 기금을 조성하여 임팩트 투자 시장이 수천억 원대로 확대
36. 자금조달
√ 대표적인 자금조달 방식은 ??
ㄴ은행을 통한 자금확보, 기술/신용보증기금을 통한 자금 확보 및 정부의 지원사업과 함께
벤처캐피탈, 엔젤투자, 크라우드펀딩, 액셀러레이터를 통한 투자유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음.
37. 전환율(Conversion Rate)
√ 광고 성과를 파악하는 지표의 하나
유입된 방문객 수 대비 전환된 비율로써 광고의 타겟률 혹은 웹사이트(랜딩페이지)의 경쟁력
타겟이 정확하지 않은 매체에 광고를 집행하는 경우나 웹사이트의 경쟁력이 낮은 경우
전환율은 낮게 나옴.
전환율 = (전환수 / 유입수) X 100% (예시) 100명 방문에 2명의 전환이 발생한 경우
전환율 = (2 / 100) X 100% = 2%
38. 지식재산권
산업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재산권과 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하는 저작권으로 크게 나뉨.
√ 무체의 재산권
ㄴ 산업재산권과 저작권
산업재산권- 특허청의 심사를 거쳐 등록하여야만 보호 ,보호기간은 10~20년 정도
저작권- 출판과 동시에 보호되며, 그 보호 기간은 저작자의 사후 50~70년 까지
39. J커브 (J-curve effect)
가파르게 성장한다는 이론
√ 창업현장에서 기업의 J커브 곡선은 필요한 자금 투입 규모나 시간, 매출이 발생하기 까지
에너지(비용, 인력 등)가 소모되며 하향세를 그리다 어느 시점부터 가파르게 성장하는 형태
40. 캐즘 (Chasm)
데스밸리 (Death Valley)
캐즘
√ 처음에는 사업이 잘되는 것처럼 보이다 깊은 수령에 빠지는 것과 같은 심각한 정체 상태 🙄
ㄴ특히 인터넷 비즈니스에 심각
벤처기업이 활짝 꽃을 피우기 전에 상당 기간의 침체기를 갖게 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 😟
데스밸리
√ 전문인력에 의해 기술개발은 원할하게 이뤄냈지만 ,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개발한 기술을 활용
하여 사업화하는 단계까지 이르지 못하고 도산하는 현상을 말함. 😪
ㄴ정부 정책자금이 창업과 연구개발(R&D) 에 집중되어 있고, 제품 양상과 홍보 ,
마케팅을 등한시하는 것 🙁
41. 코워킹 스페이스(Co-Working Space)
의견을 나누는 협업의 공간 또는 커뮤니티
√ 적은 비용의 임대료만 내면 회의실은 물론 프린터, 팩스기 등의 사무기기를
공동으로 사용하면서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, 서로의 아이디어나 정보를 나누다가
협업하여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경우
42. KPI (Key Performance Indicator)
√ “주주들이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?? 🧐
ㄴ 미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 자료를 묶은 성과평가의 기준
성과 측정의 과정이 중요한 이유는 과정을 관리함으로써 단기 목표를 달성 할 수 있을 뿐 아니라,
중장기적인 목표도 도달할 수 있기 때문임.
[KPI를 도출하고, 활용하는 궁극적인 목적]
구성원들을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데 있습니다.
43. 크라우드펀딩 (Crowd Funding)
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
트위터 ,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(SNS)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‘소셜 펀딩’불림
√ 일반적으로 자금이 없는 벤처사업가나 예술가, 사회활동가 등이 자신의 아이디어 등을 인터넷에
공개하고 다수로부터 투자 받을때 활용하는 방식
크라우드 펀딩은 종류에 따라 ▷후원형 ▷기부형 ▷대출형 ▷증권형 등 네 가지 형태로 나뉨
44. 킬러 콘텐츠 (Killer Contents)
√ 시장을 지배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일컫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문화, 콘텐츠 분야에 적용
ㄴ 만화, 애니메이션, 캐릭터, 국제적인 스타 등 핵심상품으로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콘텐츠
미국의 할리우드와 디즈니, 일본의 온라인 게임과 만화, 프랑스의 와인과 향수
45. 팀 빌딩(Team Building)
√ [ 👩🏻🦰팀 빌딩에 있어 중요한 것 👩🏼]
ㄴ 구성원이 명확한 목적의식을 공유하고, 그 목적을 성취하려는 의욕을 고취한 것
46. 프로토타입 (Prototype)
벤치마킹 (Benchmarking)
MVP (Minimum Viable Product)
프로토타입
제작한 기본 모델, 시제품, 견본품
√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정식 절차에 따라 완전한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전에 사용자의 요구를
받아 일단 모형을 만들고 이 모형을 사용자와 의사소통하는 도구로 활용합니다.
벤치마킹
√ 우수한 상대를 표적으로 삼아 자기 기업과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고, 이를 극복하기 위해
부단히 자기 혁신을 추구하는 경영기법
[ ‘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’ ]
ㄴ 뛰어난 상대에게서 배울 것을 찾아 배우는 것
MVP
√ 최소한의 기능을 최소의 노력을 들여 시장에 내놓는 것으로 빠르게 한 발 내딛는 게 핵심.
47. 플랫폼 (Platform)
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
√ 일반적인 서비스 사업모델은 재화나 가치의 이동이 사업자에서 이용자로 한 방향으로 흐른다면 ,
ㄴ 플랫폼은 사업자와 이용자 간 다양한 상호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해 줌
플랫폼은 온오프라인에서 장소를 만들고 , 나름의 규칙을 수립하고 , 시스템을 고도화하여
플랫폼의 참여자들이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
48. P2P금융 (Peer to Peer Finance)
연결된 개인과 개인, 개인과 기업이 직접적인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형태
√ 인터넷 환경을 통해 투자자들과 좀 더 합리적인 이자율로 자금이 있어야 하는 대출자들이
만나 서로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
ㄴ P2P금융 : 금융회사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기존의 금융거래를 인터넷을 통해
이루어지지게 함 . 대출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합리적인 이율을 제공하는 점 .
49. 핀테크 (Fintech)
모바일, 빅데이터, SNS등의 첨단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
√ 새로운 IT 기술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기반 금융서비스
ㄴ 애플페이, 알리페이, 토스, 뱅크샐러드, 카카오페이
50. 해커톤 (Hackathon)
한정된 기간 내에 기획자, 개발자, 디자이너 등 참여자가 팀을 구성해 쉼 없이 아이디어를
도출하고, 이를 토대로 앱, 웹 서비스 또는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하는 행사
√ 페이스북에서 사내 행사로 알려짐.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행사로 개최
검수
김경원 - 한양대학교 기술지주 본부장 이동건 - 나눔엔젤스 대표
김성근 - 부산대학교 기술지주 실장 이찬희 - 전남대학교 기술지주 전무이사
안태욱 - 군산시 청년뜰 창업센터 센터장 정효진 -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팀장
출처
· 이강원 · 손호웅, 『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 사전』,구미서관, 2016 ·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,『스타트업 용어사전』, 교육부, 2019 · 노규성,『플랫폼이란 무엇인가』,커뮤니케이션북스, 2014 · 기획재정부,『시사경제용어사전』,대한민국정부, 2017 · (사)한국기업교육학회,『HRD 용어사전』,㈜중앙경제, 2010 · 미래와경영연구소,『NEW 경제용어사전』, 미래와경영, 2006 · 김연희,『데이터베이스 개론 : 기초 개념부터 빅 데이터까지 큰 흐름이 보이는 데이터베이스 교과서』,한빛아카데미(주), 2013 · 서경원,『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』,(주)신원문화사, 2002 · 이명천 외 1인, 『광고전략』, 커뮤니케이션북스, 2013 · 최진봉,『기업의 사회적 책임』,커뮤니케이션북스, 2014 · 노규성, 『비즈니스혁신의10대경영도구』, 커뮤니케이션북스, 2014 · 정용찬,『빅데이터,커뮤니케이션북스』, 2013 · 곽호완 외 4인,『실험심리학용어사전』,시그마프레스(주), 2008 ·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, 『패션전문자료사전』, 한국사전연구사, 1997 · 한경 경제용어 사전 https://dic.hankyung.com/ · 두산백과 http://www.doopedia.co.kr · 매일 경제 용어 사전 http://www.mk.co.kr · ICT 시사상식 http://www.tta.or.kr · IT 용어사전 http://www.tta.or.kr ·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 https://www.aik.or.kr/ · 스타트업위키 http://startup-wiki.kr/ · 천재학습백과 초등 소프트웨어 용어사전 · http://koc.chunjae.co.kr/main.do · 시사상식사전 http://www.pmg.co.kr · 학문명백과 : 공학 http://www.hyungseul.co.kr · 위키백과 https://ko.wikipedia.org/